목차
1. 왜 아이들은 부모에게 욕설을 할까?
2. 사춘기 욕설에 대한 부모의 올바른 대응 방법
3. 변화를 위한 두 가지 핵심 전략
🧑🏻🏫 부모의 인권도 중요합니다
“이런 ‘삐–’야! 용돈 안 내놔? 내 손가락 하나라도 건드리면 아동학대로 경찰에 신고한다!“
아이에게 할 일을 해야 한다고 타일렀을 뿐인데.. 부모님께 욕을 서슴지 않고 심지어 홧김에 엄마를 주먹 때린 중 3 A군.
사춘기 욕설, 생각보다 흔한 문제입니다. 감정표현이 서툰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하면 안되는 욕이나 심지어 폭행까지 사용해 분노를 표현합니다. 이 때, 부모님들은 당연히 놀라고 아무런 대처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 놀라 넘어가주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A군의 부모님은 사춘기 욕설 문제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저희 지원 센터큐를 찾았습니다.
일년 후, A군은 어떻게 변했을까요?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아이의 갑작스러운 감정 변화나 예의 없는 언행에 당황하셨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SNS와 자극적인 콘텐츠의 확산으로 인해 욕설과 폭력까지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주변 환경에 의해 어떤 언어를 사용해도 되는지 배우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욕을 사용하지 않아도 SNS나 인터넷을 통해 욕설에 익숙해지면 친구들과 있을 때는 물론 부모님에게까지 욕설을 사용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사춘기 욕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왜 아이들은 부모에게 욕설을 할까?
아이들이 부모님께 화내는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첫번째 이유는 신체적 이유입니다. 청소년기의 뇌는 여전히 성장 중이어서 감정을 조절하는 전두엽이 미성숙한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은 분노라는 거대한 감정을 경험할 때, 그 감정을 차분하게 소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시에 감정을 처리하는 편도체는 과도하게 활성화되어있기 때문에 사춘기 아이들은 감정적으로 매우 예민합니다. 그래서 아주 작은 자극에도 극도한 분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SNS와 미디어에서 무분별하게 퍼지는 자극적인 언어는 아이들이 욕설을 자연스럽게 여기게 만듭니다.
2. 사춘기 욕설에 대한 부모의 올바른 대응 방법
지원 센터큐에서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을 강조합니다.
- 같이 욕하지 않기: 아이가 욕설을 하더라도 부모가 같은 방식으로 감정적으로 화를 내거나 심지어 욕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해서는 안 됩니다. 아이가 스스로 욕을 통해 화라는 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인지할 기회를 잃게 만들 뿐입니다.
- 차분하게 대응하기: 아이가 욕을 시작한 초기에는 부모도 감정을 가라앉히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욕을 하는 것을 목격하거나 부모님에게 욕을 사용했을 때 부모님도 놀라고 서럽고 화나는 감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대처하지 마세요. 도저히 감정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잠시 자리를 비우는 것도 방법입니다.
- 어떤 이유에서도 욕설 절대 금지하기: 아이가 어떤 이유로 욕을 했건,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눈감아주는 것은 장기적으로 더 큰 문제를 초래합니다. 반복적인 욕설 습관을 막기 위해 초기부터 바로잡아야 합니다. 부모님께 욕을 하는 것은 물론, 지나가는 말로 속삭이며 욕을 하는 것 조차도 금지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욕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3. 변화를 위한 두 가지 핵심 전략
지원 센터큐가 강조하는 변화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반성 절차: 아이가 욕설이나 폭력을 행사했을 때 반성문을 작성하게 합니다. 처음에는 아이들이 반발할 것입니다. 하지만 반성문은 아이가 감정을 가라앉히고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는 기회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반성문을 쓸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아주 짧은 반성문으로 시작해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자신이 한 행동이 잘못됐다는 것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가지게 하는 것 입니다.
- 일관된 대응: 부모는 일관성 있게 대응해야 합니다. 아이가 욕을 사용할 때 가끔은 넘어가주고 가끔은 화를 내고 가끔은 반성문을 쓰게 하면 아이는 욕을 하는 것이 허용된 행동인지 아닌지 헷갈려할 것입니다. 모든 욕 사용에 대해 일관적으로 반성문을 쓰게 하시고, 추가적으로, 물질적 혜택(용돈, 핸드폰 사용 등)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방식을 활용해 아이가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유도해보세요. 처음에는 반발하더라도 반복적인 대응을 통해 아이는 점차 자신의 행동을 절제하게 될 것입니다.
4. 실제 사례로 본 변화
중학교 3학년 A군은 부모에게 욕설과 폭력까지 행사하던 아이였습니다. 그러나 지원 센터큐의 도움을 통해 반성문 작성과 일관된 페널티 적용을 반복하면서 점차 자신의 행동을 바로잡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A군은 부모 앞에서 욕설을 완전히 멈추고 부모를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제 A군은 부모님께 예의를 갖추고, 선생님들에게도 예의 바른 성실한 학생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5. 부모의 인권도 중요합니다
청소년 인권이 강조되는 시대이지만, 부모님의 인권도 중요합니다. 부모님의 감정과 존엄성 역시 보호받아야 합니다. 만약 자녀의 욕설과 폭력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지원 센터큐에 문의하세요. 전문가의 도움으로 가정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부모님, 힘내세요. 사춘기 자녀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춘기 자녀의 욕설로 고통받고 계시다면, 지금 바로 지원센터큐를 찾아주세요!
사춘기 욕설 해결방안이 궁금하다면?